IYAGI Backend Architecture IV
IYAGI Backend Architecture III
프로젝트에 관련된 곳입니다.
IYAGI Backend Architecture III
IYAGI Backend Architecture III
IYAGI Backend Architecture II
IYAGI Backend Architecture I
Redux에서 실제로 state를 직접적으로 변경하는 부분은 reducer이다. ‘변경’이라는 말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 첨언하자면 reducer는 state를 변경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state를 가져와서 받은 action에 따라 부분 혹은 전체를 바꾼 뒤 새로운 sta...
flutter와 Redux
이때까지 부끄럽게도 flutter에서 state에 관한 것은 stateless widget과 stateful widget, 그리고 stateful widget 내에서 setState 함수를 호출하면 그때마다 stateful widget 내에 오버라이드된 build 함수가 다시 실행...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했지만 나는 작업을 할 때 무조건 UX의 흐름대로 따라가는 편이라 로그인 할 때 닉네임을 설정하지 않고 글쓰기나 데이터 불러오기 등을 구현하기는 싫었다. 그래서 닉네임을 설정하는 로직을 구현하기로 했다.
오늘은 사실 코딩을 하지 않았다. 이제 로그인 기능도 구현했겠다 본격적으로 앱의 메인 기능인 소설 작성 기능을 구현하려고 하니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 했다. 사실 대부분의 페이지는 정적으로 구성되는 게 자연스럽겠지만 본격적으로 소설 이어쓰기가 진행되는 소설 방 내에서는 실시간으로 ...
오늘 개발하면서 막혔던 부분은 Stateful Widget에서 Callback 함수 initState가 호출될 때 로컬에서 데이터를 불러와서 데이터에 대해 판단한 다음 이 위젯을 빌드할 필요 없다는 판단이 내려지면(그냥 다음 화면으로 바로 넘어가도 되겠다는 판단이 내려지면) ini...
플러터로 앱을 개발하다 보면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해야 할 때가 많다. Future와 Stream을 쓰는 경우는 아직 없지만 - 분명히 나중에 생길 거다.- 아직까지는 async 함수 내에서 await를 쓰는 정도밖에 안 된다.
오늘의 문제점은 바로 이것이었다. 우리 앱의 루트 레이아웃은 MaterialApp이다. 즉 appBar, body, bottomNavigationBar 3단 구성이다. 그리고 BottomNavigationBar의 버튼을 누르면 body 부분만 교환된다.
Flutter에서 코딩을 하다보면 위젯이 build 되기 전에 로컬데이터를 불러와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냥 위젯을 하나 더 만들어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용도로 사용하고 그에 맞춰 Route를 설정해주면 되긴 하나 위젯을 또 하나 더 만들게 되면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을 것 같아 St...
우리 팀 CrimsonFoot의 두 번째 토이 프로젝트 So.SSul은 릴레이 소설 애플리케이션이다. 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은 많지만 글이라는 것이 쉽게 쓰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구나 시도는 해볼 수 있지만 끝을 보기는 어렵다. 우리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한 문장씩 마음 맞는 ...